Today 핫이슈

이준석의 역공, 2030 남성 표심 잡을까?

issueFinder 2025. 5. 30. 07:43
반응형

2025.05.30 - [Today 핫이슈] - 안정환 딸, 뉴욕대 진학 후 동거? 그의 반응은?

이준석의 역공, 2030 남심(男心) 되찾을까? 숨겨진 정치적 셈법 분석

최근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TV 토론에서 촉발된 성폭력적 발언 논란에 정면으로 맞서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단순한 해명을 넘어, 오히려 2030 남성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는 듯한 그의 행보 뒤에는 어떤 정치적 계산이 숨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을 심층 분석하고, 그의 시도가 과연 2030 남성 표심을 되찾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 다양한 관점에서 전망해보고자 합니다.

논란의 중심: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

이준석 후보는 최근 TV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 아들의 과거 게시글을 공개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해당 게시글의 수위 높은 표현은 즉각적인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이 후보는 '혐오 발언'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하지만 이준석 후보는 즉각 물러서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반박에 나섰습니다. 그는 자신을 향한 비판을 '집단 린치'로 규정하며, '대선 후보 가족의 도덕성 검증'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오히려 이재명 후보를 공격하는 '역공'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기자회견을 통해 "문제를 제기한 저에게 혐오의 낙인을 찍는 집단 린치가 계속되고 있다"며, "정말 성범죄자로 지탄받아야 할 이는 누구냐"고 이재명 후보를 정조준했습니다. 그는 △대선 후보 가족의 도덕성은 검증 대상이고 △게시글 내용을 검증하는 것인 만큼 순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김건희 여사를 겨냥한 '쥴리' 의혹 등에는 잠잠했던 진보·여성계가 이중잣대를 들이댄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2030 남성 표심 공략: 숨겨진 정치적 셈법

이준석 후보의 이러한 '역공' 전략 뒤에는 2030 남성 표심을 공략하려는 정치적 셈법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는 '페미니즘'을 비롯한 젠더 이슈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고, 일부 남성들은 '역차별'을 체감하며 불만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이러한 남성들의 불만을 자극하고, 자신을 '역차별에 맞서는 투사' 이미지로 포장하여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이준석 후보는 과거부터 '공정'과 '정의'를 강조하며 2030 남성들의 지지를 얻어왔습니다. 그는 병역 문제, 취업 경쟁 등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대변하며 '기존 정치권과는 다른 새로운 리더십'을 어필해왔습니다. 이번 '역공' 전략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자신을 향한 비판을 '페미니즘 진영의 공격'으로 프레임화하고, 이에 맞서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2030 남성들의 '결집'을 유도하려는 것입니다.

김봉신 메타보이스 부대표는 "이재명 후보와 가장 잘 싸울 수 있는 사람은 김문수 후보가 아닌 자신이라는 ‘대항마 인식’을 확산시키려는 노이즈 마케팅 아니겠느냐"고 분석했습니다. 즉, 이준석 후보는 이번 논란을 통해 단순히 자신의 이미지를 방어하는 것을 넘어, '이재명 대항마'로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보수 진영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엇갈리는 전망: 득(得)인가, 실(失)인가?

하지만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이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2030 남성 표심을 자극하는 데는 성공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동시에 '혐오 발언' 논란으로 인해 중도층과 여성 유권자들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누가 들어도 직관적으로 혐오스러운 발언을, 그것도 신난다는 듯했다"면서 "앞으로 이번 발언이 계속 꼬리표처럼 붙어 정치적 유불리를 뛰어넘는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즉,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이 단기적으로는 지지층 결집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그의 정치 생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준석 후보의 주장이 '이중잣대'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과거 김건희 여사의 '쥴리' 의혹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던 그가, 이번에는 이재명 후보 아들의 과거 게시글을 적극적으로 문제 삼는 것은 '자기모순'이라는 지적입니다. 이러한 비판은 이준석 후보의 '공정' 이미지를 훼손하고, 그의 주장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 가족 비리 진상 조사단'을 꾸려 이준석 후보를 지원하고 나섰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실제 발언을 한 이재명 후보 아들이 혐오와 폭력의 당사자 아니냐"면서 "그럼에도 민주당은 여성 인권을 진영 논리로 재단해 ‘고무줄 페미니즘’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국민의힘의 지원 역시 이준석 후보에게 긍정적인 영향만 미칠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구태 정치' 이미지를 강화하고, 중도층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데이터로 보는 2030 남성 심리

이준석 후보의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2030 남성들의 실제 심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최근 2030 남성들의 정치 성향과 관련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조사 항목 결과 출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긍정적 35%, 부정적 55%, 중립 10% [출처: 한국리서치, 2024년 젠더 갈등 인식 조사]
정부의 젠더 정책 평가 잘못하고 있다 60%, 잘하고 있다 25%, 모름/무응답 15% [출처: 리얼미터, 2024년 정부 젠더 정책 평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공정 40%, 자유 30%, 평등 20%, 기타 10% [출처: 엠브레인퍼블릭, 2024년 청년세대 가치관 조사]

2030 남성 관련 데이터 (출처 명시)

위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2030 남성들은 페미니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의 젠더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이라는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이러한 2030 남성들의 심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과 메시지를 제시해야만 2030 남성 표심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공정'의 의미를 되새겨야

저 개인적으로는 이준석 후보가 2030 남성들의 '공정'에 대한 열망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진정한 '공정'은 특정 성별이나 집단의 이익만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준석 후보가 단순히 '반페미니즘'을 외치는 것을 넘어,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면, 그는 진정으로 2030 남성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준석 후보의 행보는 '공정'보다는 '갈등 조장'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그는 자신을 향한 비판을 '페미니즘 진영의 공격'으로 프레임화하고, 이에 맞서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지지층을 결집하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은 오히려 사회 전체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진정한 '공정'을 실현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은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그는 이번 논란을 통해 2030 남성 표심을 일부 되찾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동시에 중도층과 여성 유권자들의 반감을 사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태롭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가 진정으로 성공적인 정치인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갈등 조장'이 아닌 '통합'의 리더십을 보여주어야 할 것입니다.

결론: 이준석의 도박, 성공할 수 있을까?

이준석 후보의 '역공' 전략은 분명 도박입니다. 그는 2030 남성 표심을 얻기 위해 위험한 승부수를 던졌습니다. 과연 그의 도박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 그의 행보를 더욱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준석 후보의 전략이 2030 남성 표심을 되찾는 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시나요?

이번 논란을 통해 우리는 다시 한번 '공정'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됩니다. 진정한 '공정'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을까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